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급성중이염 증상, 치료법
    건강 관련 2023. 9. 10. 14:28

    급성중이염

    중이염은 귀인두관, 가운데귀 공간, 꼭지돌기의 염증입니다.

    가운데귀의 점막은 비강, 부비동, 코인두, 귀인두관, 기도, 기관지, 후두와 연결되어 있어 호흡기계 감염이 흔히 가운데귀를 감염시킵니다.

    중이염이 진행되거나 화농이 계속되면 청력이 손실될 수 있고, 뼈막이나 뼈기질이 파괴되어 꼭지돌기로 염증이 퍼지면서 뼈막아래 농양, 정맥굴 주위농양, 뇌수막외농양, 수막염, 뇌농양 등을 일으킵니다.

     

     

    급성중이염

    어린이는 인플루엔자, 성인은 폐렴알균이 가장 흔한 원인이며, 감기의 합병증으로 발생하면 용혈성사슬알균이 원인입니다. 화농성중이염은 상기도 감염이나 굴염, 잘못된 코푸는 습관 또는 아데노이드비대로 인한 폐쇄로 발생합니다. 급성 화농성 중이염은 모든 연령층에서 발생하지만 성인보다 귀인두관이 짧고 넓은 소아에게 흔하며, 어린이는 보통 양측성, 성인은 일측성으로 나타납니다.

     

     

     

    증상

    급성화농성중이염은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자연 치유되지만 증상은 세균의 독성과 개인의 저항력에 따라 다릅니다. 감염은 발적기, 삼출기, 화농기로 진행됩니다.

    발적기

    최근의 상기도 감염 후 귀의 통증, 발열, 귀의 충만감, 부종, 고실 내 자극을 호소하고, 귀인두관에서 시작하여 가운데귀로 확산되는 충혈성 부종과 탁하고 두꺼우면서 충혈된 고막을 볼 수 있으며, 청력은 정상입니다.

    삼출기

    삼출물형성으로 구토와 전도성난청을 일으킵니다. 경계선과 빛원뿔이 없어지고 팽륜이나 발적 및 광택이 없는 부동성 고막이 관찰됩니다.

    화농기

    고막이 천공되지 전까지 귀의 통증이 심하고, 고막이 터지면 화농성 분비물이 배출되면서 통증과 발열이 사라지지만, 전도성 난청은 심해집니다.

     

     

    치료

    비수술요법 안위증진, 감염관리, 합병증 예방이 목적입니다. 중이염이 완전히 치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재발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국소항생제보다 적어도 7~10일 간 전신항생제를 계속 투여합니다. 통증이 있으면 진통제를 투여하며, 가운데귀와 귀인두관의 압력을 완화하기 위해 항히스타민제와 충혈제거제를 사용합니다. 통증이 심하거나 발열, 고만의 팽륜이 있으면 고막절개술을 시행합니다.

    마른 거즈로 바깥귀를 깨끗이 하며, 솜으로 귀를 느슨하게 막아 감염이 주위로 확산되지 않도록 합니다. 바깥귀의 피부가 분비물 때문에 자극되지 않도록 크림을 발라주고, 적절한 수분을 섭취하고 휴식을 취하도록 하며, 샴푸나 샤워, 수영으로 인한 감염이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상기도감염이 있을 때 코를 세게 푸는 것은 가운데 귀로 병원균을 전파시킬 수 있으므로 피합니다.

     

     

    아프지 말고 건강합시다~

     

     

     

    황옥남, “성인간호학(하) (제7판)”, 현문사, 2018.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