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력저하, 색깔 인식 감소, 흐리게 보인다면? 백내장을 의심해보자(수정체 혼탁)건강 관련 2023. 9. 10. 14:21
백내장
수정체의 혼탁으로 망막에 선명한 상을 맺지 못하는 상태입니다. 백내장수술은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하는 수술입니다. 노화와 관련한 밴내장이 가장 흔한 형태이며, 70세 이상 노인의 대부분은 백내장이 예상됩니다. 치료는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로 시력감소가 있을 때 수술합니다.
원인
원인은 매우 다양합니다. 노화로 인해 수정체는 점차 수분이 줄어들고 밀도가 증가합니다.
증상
백내장의 초기 징후는 약간 뿌옇게 보이는 현상, 복시와 색의 인식감소입니다.
수정체가 계속해서 혼탁해지므로 시력저하와 복시가 나타나지만, 통증이나 발적은 없습니다. 시력감소는 서서히 발생하여 독서, 음식준비, 운전과 같은 활동에 영향을 받을 때까지 변화를 인식하지 못한다. 시력은 다양한 조명에서 평가하고, 세극등현미경으로 수정체를 검사하여 혼탁의 크기, 모양, 위치를 관찰합니다.
치료
백내장의 치료는 혼탁된 수정체를 적출하는 것으로 낭내나 낭외법이 있습니다.
가장 흔한 방법은 낭외적출술입니다. 낭외적출술에서 각 흰자위막 절개 창을 작게 하여 수술 후 합병증을 줄이기 위한 초음파유화술이 가장 많이 시행됩니다. 이 방법은 낭의 앞부분을 열고 초음파를 이용하여 수정체 핵을 부순 후 남아있는 수정체 피질을 흡인기를 이용하여 제거하고 남아있는 수정체 후낭 위에 인공수정체를 삽입합니다.
낭내적출술은 냉동소식자를 이용하여 수정체를 모두 제거하는 것입니다. 후낭까지 제거하는 이 수술의 단점은 망막박리의 위험이 높고 안구 내 수정체 삽입을 위한 지지구조가 없어지므로 요즘은 거의 시행하지 않습니다.
수정체를 제거한 후에는 눈의 조절력이 없어지므로 및이 망막에 초점을 맺도록 하기 위해 대부분 수정체 혼탁 제거와 동시에 인공수정체를 삽입합니다. 수술 후 원거리 시력은 회복되지만 근거리 작업과 독서를 위해서 돋보기 안경이 필요합니다. 최근 다초점 인공수정체를 삽입하면 돋보기 착용 없이 근거리와 원거리를 모두 볼 수 있습니다.
아프지 말고 건강합시다~
황옥남, “성인간호학(하) (제7판)”, 현문사, 2018.
'건강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른쪽 하복부가 아프다면? 맹장 터졌을 때 원인,증상,치료 (충수염) (0) 2023.09.11 급성중이염 증상, 치료법 (2) 2023.09.10 갈증이 심해지고, 소변이 많이 나오고, 많이 먹게 된다면 당뇨 의심 (0) 2023.09.10 파킨슨병 원인, 증상, 치료에 대해 알아보아요 (3) 2023.09.09 뇌졸중 경고징후 나타나면 바로 응급실로! (0) 2023.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