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폐결핵 원인, 전염, 증상, 치료건강 관련 2023. 9. 11. 19:54
폐결핵
결핵은 감염성이 높은 질환으로서 후두, 콩팥, 뼈, 부신, 림프절, 뇌막 등 인제 어느 기관에나 전파될 수 있는데, 그 중 허파를 가장 잘 침범합니다.
결핵에 감염된 대상자의 기침, 재채기, 객담에 의해 결핵균이 공기 중에 떠다니다가 공기전파를 통해 타인에게 감염됩니다. 큰포식세포가 허파꽈리까지 도달하면 결핵균을 포식하여 삼출성 반응이 나타나고, 비특이성 폐렴이 유발됩니다. 면역력이 강하면 결핵균이 침범된 병소는 자가치료되고 다른 문제를 거의 남기지 않지만 감염된 대상자의 5~15%에서는 결핵이 발병합니다.
감염 후 2~8주가 되면 면역체계가 침입한 결핵균을 알아내는 세포매개성 면역반응이 나타나는데, 이 시기를 1차 결핵이라고 하고, 투베르쿨린 검사에 양성반응을 보입니다. 증상이 나타나기 전까지는 타인에게 감염되지 않으며 X선상에 나타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일차감염의 대부분은 치유가 가능하다.
2차 감염은 이전에 감염된 사람의 저향력이 감소되었을 때 균이 활성화되어 발병합니다. 흔히 재활성화되는 부위는 상엽이며, 이를 사이몬병소라고 합니다.
결핵균이 혈관에 침투하거나 질병이 신체 전체로 퍼졌을 때 좁쌀결핵 또는 혈행성 결핵으로 진행됩니다. 흉부 X선상 좁쌀과 같은 결절이 허파 전체에 퍼진 것이 보이며, 혈액을 통하여 뇌, 뇌막, 간, 콩팥, 골수로 퍼집니다.
원인
결핵은 결핵균에 의해 발생합니다.
증상
활동성 폐결핵의 일반적인 증상은 기침할 때 점액성 또는 화농성 객담, 객혈, 가슴압박과 흉통이며, 전신증상으로 체중감소, 식욕감퇴, 야간발한, 객혈, 호흡곤란, 미열, 오한 등입니다.
치료
약물요법은 폐결핵을 치료하고 전파를 예방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활동성 폐결핵은 세균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약물을 혼합하여 치료합니다.
황옥남, “성인간호학(상) (제7판)”, 현문사, 2018.
'건강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엄지발가락이 안으로 휜다면? 무지외반증을 의심해보자 (0) 2023.10.23 절개부위가 뜨겁고 가렵다면? 켈로이드 원인, 예방, 치료 알아보기 (0) 2023.10.23 비염 원인, 증상, 치료 (재채기, 코막힘, 콧물, 가려움증) (0) 2023.09.11 담석증 원인, 증상, 검사, 치료 (1) 2023.09.11 오른쪽 하복부가 아프다면? 맹장 터졌을 때 원인,증상,치료 (충수염) (0) 2023.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