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
-
폐결핵 원인, 전염, 증상, 치료건강 관련 2023. 9. 11. 19:54
폐결핵 결핵은 감염성이 높은 질환으로서 후두, 콩팥, 뼈, 부신, 림프절, 뇌막 등 인제 어느 기관에나 전파될 수 있는데, 그 중 허파를 가장 잘 침범합니다. 결핵에 감염된 대상자의 기침, 재채기, 객담에 의해 결핵균이 공기 중에 떠다니다가 공기전파를 통해 타인에게 감염됩니다. 큰포식세포가 허파꽈리까지 도달하면 결핵균을 포식하여 삼출성 반응이 나타나고, 비특이성 폐렴이 유발됩니다. 면역력이 강하면 결핵균이 침범된 병소는 자가치료되고 다른 문제를 거의 남기지 않지만 감염된 대상자의 5~15%에서는 결핵이 발병합니다. 감염 후 2~8주가 되면 면역체계가 침입한 결핵균을 알아내는 세포매개성 면역반응이 나타나는데, 이 시기를 1차 결핵이라고 하고, 투베르쿨린 검사에 양성반응을 보입니다. 증상이 나타나기 전까지는..